월급 실수령액 계산기
2025년 최신 세율과 4대보험료율을 반영하여 정확한 실수령액을 계산해드립니다.
급여 정보 입력
본인 제외
추가 공제 대상
계산 결과
월 급여를 입력하면 실수령액이 계산됩니다.
안내 사항
- • 본 계산기는 2025년 세율 및 4대보험료율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.
- • 실제 실수령액은 회사의 급여 정책, 추가 공제 항목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- • 간이세액표를 기준으로 계산되며, 연말정산 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•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는 금액은 과세 대상이 됩니다.
월급 실수령액 계산기란?
월급 실수령액 계산기는 근로자의 세전 급여에서 4대보험료와 세금을 공제한 후 실제로 받게 되는 금액을 계산해주는 도구입니다. 최신 세율과 보험료율을 반영하여 정확한 계산을 제공합니다.
주요 공제 항목
- 국민연금: 월 소득의 4.5% (상한액: 월 590만원)
- 건강보험: 월 소득의 3.545%
- 장기요양보험: 건강보험료의 12.95%
- 고용보험: 월 소득의 0.9%
- 소득세: 간이세액표에 따라 차등 적용
- 지방소득세: 소득세의 10%
자주 묻는 질문
Q. 비과세 금액이란 무엇인가요?
A. 식대, 차량유지비 등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급여 항목입니다. 일반적으로 식대 10만원이 비과세로 적용됩니다.
Q. 실제 급여와 차이가 나는 이유는?
A. 회사별 추가 공제 항목(단체보험, 퇴직연금 등)이나 세액공제 적용 방식의 차이로 실제 급여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.
Q. 연말정산 환급액도 계산되나요?
A. 본 계산기는 월 급여 기준 실수령액만 계산합니다. 연말정산은 개인별 공제 항목에 따라 달라지므로 별도 계산이 필요합니다.